성지순례 분류

성지순례 | 윤치호 장로

작성자 정보

  • 박경진 장로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 좌웅 윤치호 선생 좌옹(佐翁) 윤치호(尹致昊 1865~1945)는 충남 아산에서 출생하였다. 신식군대인 별기군 창설의 주역이었던 윤웅렬의 장남으로 다섯 살 되던 해에 벌써 한학을 연마하였다. 9세에 상경하였고, 2년간 학자 어윤중의 문하생으로 있으면서 새로운 학문을 접하였다. 또한 무관이었지만 개화에 일찍 눈을 뜬 부친의 영향을 받아 1882년 9월20일 조정으로부터 파견된 58명의 신사유람단 제2진에 합류 어윤중의 수행원으로 나이가 가장어린 17세에 일본방문을 하게 되었다.

일본 요코하마에 도착한 윤치호는 처음으로 기차를 타고 도쿄로 향하였다. 그는 글로써 일본 관리와 대화하였는데, “언제부터 기차가 다녔습니까?”는 질문에 ‘1872’라고 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또한 일본의 근대화가 기독교의 영향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도 알았다. 그는 3개월간의 시찰을 마친 후 약 2년간 그곳에 남아서 일본 최고의 개화사상가이자 기독교인인 나카무라(中村正直)가 설립한 중등과정의 사립학교인 동인사(同人社)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배우고, 1883년 1월부터 요코하마에 있는 네덜란드 영사의 협력으로 영어를 배웠다. 또한 이 시절 국내 개화파 인사를 비롯한 일본개화파인사, 재일 외국인 외교관들과도 교류를 쌓으며 국제정세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그는 1883년 5월 초대 주한 미국 공사로 부임하는 푸트(L.H. Foote)의 통역관으로 임명받고 함께 귀국하였다. 그 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주사(主事)로 임용돼 통역과 공문서 번역 일을 보면서 개화파 인사들과 친분을 쌓아갔다. 그런 개화파 인사들과의 친분 때문에 1884년 12월4일 일어난 갑신정변 실패 후 공모자로 몰려 상하이로 망명 겸 유학길에 올라야만 하였다. 이때 푸트 영사의 추천으로 상해에 있는 미국 남감리교 선교사 앨런이 설립한 미션학교인 중서서원(中西書院)에 입학하여 3년 반동안 공부하였다. 원치 않는 망명생활에 낙심하여 처음 한동안은 주색잡기에 빠져 방황의 세월을 보냈으나, 중서서원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세례를 받으면서 변화되고 미국 남감리회 소속 교인이 된 윤치호는 선교부의 추천으로 1888년 미국 유학길에 오른다. 감리교 다락방 본부가 있는 내슈빌에 위치한 밴더빌트대학에 입학하여 조선인으로서 첫 유학생이 되었다. 이때 내슈빌에서 열린 미국 세계선교신학생대회에, 안식년으로 돌아와 있던 언더우드 선교사와 함께 강사로 참여하였다. 이 때 미국 남장로교 소속 신학생들이 너도나도 조선선교사로 지망을 하였다. 미국 남장로교 선교부에서는 조선의 호남지방에 선교사를 파송할 수 있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언더우드와 윤치호를 기록하고 있다.

▲ 윤치호의 애국가 원본(1907). 미국 유학생활을 마치고 1895년에 귀국한 윤치호는 그 실력을 높이 인정받아 학무협판(문교부 차관) 등의 관직을 부여 받는 등 정부 요직을 맡게 되었고, 1897년에는 서재필, 이상재 등과 함께 독립협회를 주도하기도 하였다. 한편, 1904년에는 영국 극동함대 한 척이 제물포에 입항하였다. 함대 사령관이 양국의 애국가를 연주하겠다고 하였다. 당황한 고종황제는 윤치호 외부협판을 불러 즉시 애국가를 제정하도록 지시하였다. 윤치호는 기도하는 가운데 애국가를 4절까지 작사하고, 여기에 스코틀랜드 민요가인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의 곡을 붙여서 영국 함대가 우리나라의 애국가를 첫 번째로 연주를 하였다. 그 애국가 가사는 1907년 감리교회에서 제작한 찬미가 제14장에 수록되는 역사를 남겼다.

▲ 박경진 장로진흥홀리투어(주)한국기독교성지순례선교회 회장☎02)2230-5151 그는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국권이 상실된 마당에 그냥 앉아만 있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자강운동’을 조직하고 회장을 맡아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남감리교 선교부의 지원을 받아 개성에 한영서원(송도고등보통학교)을 설립하고 원장직을 맡아 교육사업에도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일제에 의해 105인 사건의 주모자로 지목되어 3년간의 옥살이를 하고 1913년 석방되었지만, 이후 친일적 성향에서 발을 빼지 못하였다. 1919년 3.1운동 당시에는 최남선과 신익희의 권유를 거부하고 불참 이유를 발표하는 등 일제 말기에는 노골적인 친일행위에 가담하였다. 해방과 더불어 친일파로 규탄의 대상이 되었지만 자기합리화와 변명을 하다가 1945년12월6일 개성의 자택에서 뇌일혈로 쓰러지고 말았다.

개항의 선구적 개혁자며 기독교인으로 애국가를 지어 민족의 여망을 깨우친 교육자며 언론인이기도 한 좌옹 윤치호는 뼈아픈 역사의 현장 속에서 영욕의 세월을 살다 죽어갔다. 애국가 의 역사적인 가사를 작사하는 공적을 남겼지만 일제 말엽의 불운의 친일행위로 말미암아 결국은 ‘작사자 미상’으로 처리되고 말았다. 윤치호의 생애는, 역사의 냉혹한 교훈을 알아 이 시대를 사는 참된 기독교인으로서 한 길만을 끝까지 치열하게 걸어가야 한다는 것을 아픈 교훈으로 우리에게 일깨워 준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최근글


인기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