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분류

원인모를 장트러블 ‘과민성 장증후군’ 증가

작성자 정보

  • 연합기독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과민성 장증후군’을 아시나요?


직장인 A씨는 고등학교때부터 시달리는 잦은 복통과 설사로 고통받고 있다. 그러나 병원에 가면 검사 상으로는 원인이 없고, 단지 그때 그때 약만 받아서 먹고 치료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A씨는 의사에게 ‘과민성 장증후군’ 판정을 받게 되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8~2012)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과민성 장증후군(자극성 장증후군)’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149만명에서 2012년 162만명으로 5년새 약 13만명(8.7%)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7%로 나타났으며, 총진료비는 2008년 약 584억원에서 2012년 약 763억원으로 5년새 약 179억원이 증가(30.8%)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5.5%로 나타났다.
과민성 장증후군은 복통, 복부 팽만감과 같은 불쾌한 소화기 증상과 설사 혹은 변비 등 배변장애 증상을 반복적으로 느끼는 만성적인 질환으로, CT나 내시경 등의 검사상 원인 질환을 찾을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근본적인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가장 큰 원인으로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꼽으며, 과음, 자극적인 음식,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 등 여러 원인에 의해 장의 운동기능과 내장의 감각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증상은 아랫배의 통증과 함께 배변 습관이 바뀌는 것으로, 변비와 설사가 교대로 반복되거나, 배변 후 증상 완화, 점액질 변, 잦은 트림, 방귀 등이 나타난다.
과민성 장증후군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불편함을 완화시키기 위해 증상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증상 호전에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과민성 장증후군 진료인원의 10세구간 연령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50대 20.5%, 40대 16.0%, 60대 14.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40~60대의 점유율이 50.8%로, 자극성 장증후군 진료인원의 2명 중 1명은 40~60대의 중·장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민성 장증후군은 오랜 기간 계속되거나 재발해도 건강에 커다란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환자의 정신적·육체적 고통과 함께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에 기초한 진단기준 [Rome Criteria]

Ⅰ.진단기준
지난 12개월 중에 적어도 12주 이상(연속적일 필요는 없다)복통이나 복부 불쾌감이 다음 3가지 중 2개 이상과 동반할 때
(1)배변에 의해 소실
(2)배변횟수의 변화와 동반된 시작
(3)변 형태의 변화와 동반된 시작

Ⅱ.의심할 수 있는 증상
(1)주3회 이하의 배변 (2)일3회 이상의 배변
(3)딱딱하거나 덩어리진 대변 (4)무른 또는 물 대변
(5)배변 시 힘을 많이 씀 (6)배변 핍박감
(7)불완전 배출감 (8)복부 충만 또는 팽만

설사형: (2),(4),(6)항 중 1개 이상이고 (1),(3),(5)항은 없음
변비형: (1),(3),(5)항 중 1개 이상이고 (2),(4),(6)항은 없음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최근글


인기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