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

복지 분류

2014년 기준 대사증후군 관련 진료인원 991만명, 50대 이상이 80%

작성자 정보

  • 연합기독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세계 고혈압의 날(5월 17일)을 맞아 고혈압 등을 포함한 ‘대사증후군’관련 질환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2014년 총 진료인원은 991만1천명, 총 진료비는 4조7,574억원으로 2010년에 비해 각각 141만명(16.5%), 1조203억원(27.3%)이 증가하였으며, 전체 진료인원 중 80% 이상은 ‘50세 이상’, 절반 이상은‘고혈압’진료인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 고혈압 진료인원은 585만4천명으로 전체 진료인원의 49.1%를 차지하였으며, 당뇨병 258만명(21.6%) > 고지혈증 144만5천명(12.1%) > 심혈관질환 102만6천명(8.6%) > 뇌혈관질환 101만6천명(8.5%)순으로 많았다.

대사증후군’ 관련 진료인원의 80%가 50세 이상으로 고 연령층에서의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 연령구간별 진료인원은 70세 이상이 316만8천명(29.9%)으로 가장 많으며, 이어서 50대 290만9천명(27.5%) >60대 271만5천명(25.6%) 순으로 많았다. 특히, 50세 이상 구간에서 남성 진료인원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주의가 요구된다.

‘대사증후군’은 인체 내의 대사기능에 문제가 생겨 당뇨병, 고혈압 등의 여러 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생활습관병이다.

‘대사증후군’의 원인은 비만과 연관된 인슐린 저항성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인정받고 있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인슐린이 분비됨에도 불구하고 인슐린의 작용이 감소된 상태를 말한다. 대사기능이 저하되면서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이 나타나며 이는 심․뇌혈관 질환으로 이어지게 된다.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복부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것이다. 신체 활동량을 증가시키고, 섭취하는 칼로리를 줄이는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며 중요한 예방, 치료방법이다. 또한, 금연과 절주, 식이요법을 실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기현 상근심사위원은 “현대인은 업무, PC게임 등으로 인해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지고식습관이 서구화되는 등 ‘대사증후군’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어있는 만큼 주기적으로 허리둘레 측정 등 간단한 자가진단을 실시하고 공복 시 혈당 측정 등의 건강검진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인기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