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분류

“아이돌봄서비스 접근 쉬워진다”

작성자 정보

  • 이리라 기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일과 생활이 조화로운 사회 환경 조성을 위해 아이돌봄서비스사업 대폭 확대추진

맞벌이로 부부가 함께 직장을 다니는 6살짜리 자녀를 둔 엄마 김 씨는 모처럼 있는 오늘 회사의 회식자리가 그리 달갑지 않다. 집에 달리 아이를 돌볼 사람이 없어 아이가 유치원이 끝나면 집에 혼자 있게 되어 저녁을 챙겨줄 수가 없는 것은 물론 집에 혼자 있게 되는 아이가 걱정스럽기 때문이다. 김 씨는 이렇게 오늘 같이 일시적인 사정으로 아이를 돌볼 수 없을 때 잠깐 동안 믿고 맡길 수 있는 곳이 있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한다.

이처럼 맞벌이로 부모의 출장, 야근 또는 아동의 질병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아이를 돌 볼 수 없을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바로 아이돌보미 서비스다. 아이돌보미 서비스는 필요한 시간에 돌보미가 해당 가정에 방문하여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부모가 올 때까지 임시 보육, 놀이활동, 간단한 급식 및 간식서비스, 보육시설 및 학교 등ㆍ원, 안전ㆍ신변처리 등 부모가 아이를 돌보는 것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아이돌보미 서비스를 통해 1998년 29.3%에서 2009년 47.6%로 18.3%p 증가한 여성 취업에 장애가 되는 요인 육아부담에 대한 것도 줄일 수가 있을 것으로 본다.

여성가족부는 2011년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을 확대하여 서비스이용을 희망하는 가정에 적시 서비스가 연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아이돌봄 서비스 등 아동양육 지원을 위한 정부예산이 지방비를 포함하여 총625억원으로 전년 313억원 대비 100% 증가한 것을 반영한 것이다.

먼저, 취업부모가정 등을 중심으로 비용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양육비용 부담을 줄이도록 한다. 늘어나는 서비스 수요를 반영하여 보육시설 이용시간 종료 후 또는 초등학교 방과 후 자녀 돌봄에 대한 ‘시간제 돌봄’ 지원이 전년 월평균 1만가구에서 올해에는 3만 가구까지 확대, 출산 후 직장 복귀 시 시설보육이 적합하지 않은 영아(0세아) 양육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종일제 돌봄서비스’ 지원 대상을 영유아 가구소득 하위 50%이하에서 가구소득 하위 70%까지 확대한다.

시간제 돌봄 서비스의 이용비용은 시간당 최저 1천원에서 최고 5천원으로 24시간 중 언제든지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다만, 중복지원 배제를 위해 보육료, 유아학비 지원 아동의 경우 평일 보육시간(09시-17시) 및 유치원 이용시간에는 서비스 이용 제한이 있으며, 연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은 총 480시간 한도며, 취업한 한부모 및 맞벌이 가정 등에는 연간 720시간까지 서비스 연장 이용이 가능하다.

종일제 돌봄 서비스는 0세아(생후 3개월~12개월 이하)의 맞벌이 가구 및 취업한 부모가 이용할 수 있으며, 비 취업모의 경우 다자녀 가구(만12세 이하 아동 3명이상, 만 36개월 이하 아동 2명이상)와 장애부모가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료는 가구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고 4십만 원에서 1백만 원까지이며 연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은 월 120기간~200시간 이내이다.

또한, 개별 가정으로 찾아가 자녀를 돌보는 서비스의 특성상 이용 가정의 다양한 형태를 반영하여 시간제 돌봄 서비스 지원 내용을 확충한다. 취업모나 한부모, 조손가족, 다자녀 가정 등 양육 공백이 해소되기 어려운 가정을 우선적으로 선정․지원하고 ‘정기 돌봄’(1일 2∼3시간)으로 전환하여 안정적인 이용이 가능토록 하며, 비취업모 가정 등 일반 가정은 양육자의 질병 또는 취업 준비 등을 사유로 일시적이고 긴급한 경우에 지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용가정과 아이돌보미의 원활한 연계를 위한 제도 개선도 병행된다. 돌봄 인력 충원의 공백을 방지하기 위해 여성 새로일하기센터 등 직업훈련시설을 활용, 기존 방과 후 지도사 등 직업훈련과정과 연계하여 아이돌보미 양성 과정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인천시 또한 아이돌보미 서비스를 대폭 확대하여 추진키로 하고 건강가정지원센터(7개소)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2012년 전면무상보육 실시를 공표하여 전국에서 최초로 실질적인 공보육을 도입한 도시로서 무상보육 사업의 연착륙을 위하여 금년부터 부문별로 무상보육 범위를 확대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리라 기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최근글


인기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