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목회 분류

체포 된 바울 / 행 21:27-40

작성자 정보

  • 연합기독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체포 된 바울 / 행 21:27-40

 

바울을 발견한 유대인들의 충동

 

본문 27-30절까지를 보면 “그 이레가 거의 차매 아시아로부터 온 유대인들이 성전에서 바울을 보고 모든 무리를 충동하여 그를 붙들고”(27절) 라고 하였습니다.‘아시아로부터 온 유대인’이라고 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들은 바울이 예루살렘을 떠나 이방인의 도시로 전도 여행을 할 때 복음의 소식을 직접 들은 사람들로, 바울의 복음전도에 대하여 평소 반감을 가졌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바울이 예루살렘 성전에서 절기를 행하는 것을 보고 화가 치밀어 올랐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생각할 때 바울은 유대교와 유대교의 하나님을 모독하는 자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화가 난 모습으로 바울을 붙잡았습니다.

본문 28절을 보면 바울을 붙잡고서는 그들은 바울을 비방합니다.“외치되 이스라엘 사람들아 도우라 이 사람은 각처에서 우리 백성과 율법과 이곳을 비방하여 모든 사람을 가르치는 그 자인데”라고 하였습니다. 그들의 비방은 항상 같습니다. 바울이 모세의 율법을 부정하고 성전을 더럽히는 사람이라고 모략하고 있는 것입니다.

계속해서 28-29절을 보면“또 헬라인을 데리고 성전에 들어가서 이 거룩한 곳을 더럽혔다 하니 이는 그들이 전에 에베소 사람 드로비모가 바울과 함께 시내에 있음을 보고 바울이 그를 성전에 데리고 들어간 줄로 생각 함이러라.”고 하였습니다. 아시아에서 온 유대인들은 더욱 철저하게 바울을 중상 모략하였습니다. 없었던 일을 있었던 일처럼 꾸미는 거짓 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의 거짓은 바울이 에베소 사람 드로비모와 함께 예루살렘 성전에 들어가 거룩한 성전을 더렵혔다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을 향한 그들의 계획은 들어맞았습니다. 30절을 보면“온 성이 소동하여 백성이 달려와 모여 바울을 잡아 성전 밖으로 끌고 나가니 문들이 곧 닫히더라.”고 하였습니다. 반 바울파인 유대인들의 계략은 적중 하였습니다. 예루살렘의 시민들도 합세하여서 바울에게 달려들어 바울을 잡고서 성전 밖으로 끌고 나가서는 성전의 문을 닫아버렸습니다. 유대인들의 계략은 철저하였습니다.‘성전의 문을 닫은 것입니다.’그 이유는 성전의 지성소 안에는 ‘다윗의 뿔’이 있었습니다. 이것은 은혜의 뿔로서 어떠한 죄를 지은 자도 성전 안에 있는 이 뿔을 잡으면 그에게 일단 변호의 자유와 신변의 안전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즉 죄인들의‘도피소’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유대인들은 성전 문을 닫음으로 바울이 이 뿔을 잡을 기회를 주지 않았습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바울에게 변호의 자유와 신변의 안전 보장을 허락하지 않은 것입니다. 어떠한 죄인에게도 허락한 이 은혜의 뿔을 이들은 막음으로써 죄인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막았던 것입니다.

 

천부장의 개입으로 살아난 바울

 

본문 31절 이하에 보면 바울은 예루살렘의 소동을 듣고는 그들의 소동에 개입한 천부장에 의해서 구원을 받습니다. 유대인들은 바울을 끌어다가 죽이려고 했습니다. 31-32절을 보면 “그들이 그를 죽이려고 할 때에.... 그들이 천부장과 군인들을 보고 바울 치기를 그치는지라.” 라고 하였습니다. 이 말씀을 보면 예루살렘 시민들은 바울을 성전에서 끌어내어 마구잡이로 때렸을 것입니다. 아무 죄도 없는 사람을 돌로 치고 마구잡이로 때리려니 마음의 불안이 얼마나 컸겠습니까? 그러니 그들은 그 두려움을 감추기 위해서 소리를 지르면서 아마도 자신들의 행동을 정당화시키려고 고함을 질렀을 것입니다. 성령님의 예고대로‘결박과 환란’(행20:23)이 시작된 것입니다.

결국 33-36절을 보면 천부장은 그들에게서 무슨 죄목을 찾으려고 했으나 그들의 바울을 치려고 했던 일에 대하여 서로의 진술이 맞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흥분해 있었고 자신들이 왜 이렇게 해야 하는지도 몰랐습니다. 결국 바울은 천부장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바울을 따라가던 유대인들은 바울을 끌고 가는 로마 군인들을 향하여‘그를 없이하라’고 하면서 외치면서 자신들의 폭행으로 말미암아 몸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지쳐있는 바울을 향하여 소리를 질렀습니다.

 

오해를 한 천부장에게 대하는 바울의 태도.

바울을 데리고 영내로 가려는 로마 천부장에게 바울은 자신에게 지금의 일어난 일에 대하여 변호할 기회를 달라고 하였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흥분하지 않고 자세하게 설명하였습니다. 바울 사도는 고상한 헬라어로 자신이 로마 국적을 소유한 사람임을 알렸습니다(39절). 또 소요하는 유대 군중들에게는 히브리 언어로 말하여 잠잠케 했습니다(40절). 이처럼 우리들도 바울에게서 배워야 합니다. 신앙생활을 하다가 오해를 받을 때 성도는 그것을 극구 부인하거나 해명하려 하기보다는 온유함과 인내로써 그들 스스로가 오해를 풀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신용대목사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최근글


인기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