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

교회와 경영 분류

교회와경영|성경적 경영과 사회적 책임

작성자 정보

  • 연합기독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경영은 오늘날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기업은 물론 가정, 사회단체, 국가 등 여러 차원에서 적용되고 있다. 경영학이란 인적, 물적 요소를 효율적으로 연관시켜 조직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목적을 두는 학문이다. 19세기 후반부터이며, 산업사회에 큰 영향을 준 것은 고전적 경영학이라고 볼 수 있고, 이는 생산현장의 작업능률을 올리는데 관심을 준 테일러(Taylor)의 과학적 관리(Scientific Management)론과 조직과 관리문제에 초점을 맞춘 페이욜(H.Fayol)의 일반원칙과 베버(M.Weber)의 관료조직 등이 여기에 포함되는 이론들이다. 이후 인간관계나 심리적 요인에 관심을 둔 행동학적 경영이론이 발달하고 인간관계론이 등장하고, 조직을 하나의 생명체처럼 생각하고 경영의 문제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려는 시스템적 연구의 흐름과 상황적 접근이론 등 다양한 이론이 발전하게 된다.

성경적 경영은 성경에 나타난 경영의 원리들을 찾고 경영현장에 적용하는 것들을 포괄한다.
기독경영연구원(KOCAM)은 비전으로 “기업 경영에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져 하나님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옵시고 기업세계에 하나님 나라가 임하게 하옵소서”라고 제시하고 있다. 성경적 경영은 한마디로 성경적 원리를 경영(활동)에 적용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이는 성경적 경영자, 성경적 기업, 성경적 기업인(직장인)이란 말들을 동시에 낳게 되며 성경적 경영= 기독(교적)경영이라고 일반적으로 쓰이게 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하느님께 반항하고 자기를 추구하는 죄인이지만,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죄를 용서받고 ‘자유로운 군주’이면서 ‘섬기는 종’이 되는 것이며, 신앙의 응답을 통하여 자유로운 봉사, 이 세계와의 관계가 생겨나는 것이라고 루터(Luther, M.)는 주장하였다. 그는 모든 직업을 신의 소명(召命, Beruf)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하였으며, 이것은 그 이후의 기독교 직업관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성경적인 노동의 기본윤리와 관련하여, 루터는 노동을 “천직 (Beruf)”으로 설명해서 사람의 일상생업에 종교적 의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직업에 귀천이 없다는 민주주의 사상에 근원적인 감화를 제공하였다. 루터는 모든 직업은 하나님과 인간을 위해서 이행되어져야 할 신성한 임무를 동반하며 가치상에 있어 동일하다고 말한다.

칼뱅(Jean Calvin,1509~1564)은 종교개혁의 기간에 주로 스위스의 제네바에서 활동하며 저술과 개혁운동을 지속했다. 그는 루터 교리를 발전시켜 예정설을 주장하게 되었으며, 이는 인간의 구원은 신이 미리 예정해 놓았다는 점과, 선택되었다는 확신을 가지고 직업에 전
칼뱅의 직업소명론은 근면을 중시하는 도시 상공 시민 층의 환영을 받고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등 서유럽에 전파되었다. 프랑스·영국 등 유럽 각국은 근대 국민국가로의 길을 걷기 시작하여 중세적 그리스도교 세력은 점차 쇠퇴해 갔다. 이러한 측면에서 종교개혁은, 교회의 혁신운동이지만 근대국가의 성립이라는 정치적 변혁과 밀접한 함수관계에 있었다.
성도의 직업 및 경제활동과 관련하여 칼뱅은 루터의 직업 안에서 (in vocatione)안주하라는 소극적 자세가 직업으로써 (per vocationem)하나님께 영광돌리라는 (직업의 자유로운 변경을 허용) 적극적 자세를 인정하였다. 칼뱅의 저서에서 소명 (Vocatio)은 거의 신앙적 부르심으로 사용되었고, 세속 직업의 경우에 사용된 경우는 극히 희소했다. 칼뱅은 “성서에서 소명은 합법적인 생활방식을 의미한다··바울의 말은 직업을 바꾸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아니다. 단지, 직업을 이유 없이 그냥 바꾸지는 말라는 것이다. 사람은 자기에게 적합한 직업이 무엇인지 숙고하고 자신이 평온한 심경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만드는 불안 요소를 피해야 한다”라고 지적하였다.

기업과 조직에서 성경적 원리에 기초한 경영이 강조되고 있다. 역사적 경험에서 인간은 개인이 자신과 사회에 대한 권리와 동시에 책임이 있듯이, 사회에 대하여도 권리와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이 있음을 알고 강조하게 되었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는 기독교의 변화와 근세 시민사회의 등장으로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게 되었으며, 로잔 협약이후 사회구원을 강조하고 있다. 오늘의 ‘공정한 사회‘ 주장에서 크리스천이 할 일은 무엇인가를 깊이 성찰하게 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인기글


알림 0